
밀폐계 경계일 개념 문제 풀이
문제
(열역학)이상기체에서 W(일) 관련 궁금점
W = Pex dV 로 압력부분이 외부압력으로 표시가 되어있던데
왜 외부압력으로 식이 표현되는 건가요? 기본식은 항상 외부압력으로 표시되나요?
W식에서 가역과정, 외부압력=내부압력일때만 Pex=P가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맞나요?
관련해서 궁금한것이
등온팽창과정(비가역) , 외부압력 일정조건에서 내부압력이 3 외부압력이 1라고 두면 (피스톤문제)
W = Pex dV 에서 Pex≠P이기 때문에
W= Pex dV = nR dT = 0 (등온) 이라는 상황이 안나오는 것인가요? (내부는 등온이지만 외부는 온도변화가 있으므로?)
W= nRT ln(P2/P1) 이 아닌 W= Pex △V 를 써야하는 것이 맞나요?
풀이
W = Pex dV 로 압력부분이 외부압력으로 표시가 되어있던데
왜 외부압력으로 식이 표현되는 건가요? 기본식은 항상 외부압력으로 표시되나요?
---------------------------
W = ∫Pex dV 이지만
준평형과정일 경우 즉 내적가역인 경우
Pex = P (P는 피스톤 내부 기체의 압력)으로 볼 수 있으므로
W = ∫P dV 가 됩니다.
아래 제 블로그 글 참고하세요
밀폐계 경계일 boundary work
열역학 Thermodynamics 4. 밀폐계 시스템 Closed system 4.1 밀폐계 경계일 boundary work of a closed system 가정 Assumption 단순 압축성 물질 a simple compressible system 준평형 과정 a quasi-equilibrium..
syssurr.tistory.com
---------------------------
W식에서 가역과정, 외부압력=내부압력일때만 Pex=P가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맞나요?
---------------------------
네 그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.
준평형과정(내적 가역 과정)인 경우 외부압력=내부압력 으로 볼 수 있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
관련해서 궁금한것이
등온팽창과정(비가역) , 외부압력 일정조건에서 내부압력이 3 외부압력이 1라고 두면 (피스톤문제)
W = Pex dV 에서 Pex≠P이기 때문에
W= Pex dV = nR dT = 0 (등온) 이라는 상황이 안나오는 것인가요? (내부는 등온이지만 외부는 온도변화가 있으므로?)
---------------------------
밀폐계, 이상기체, 등온과정인 경우
PV = nRT (R은 일반기체상수)
이며
d(PV)=PdV+VdP = d(nRT)= RTdn+nTdR + nRdT = 0 + 0+ 0 =0
입니다.
PdV = nRdT 관계가 나오지 않습니다.
PdV+VdP = nRdT = 0 이 될 수는 있습니다.
밀폐계, 이상기체, 등온과정, 정압과정인 경우
PdV+VdP = PdV + 0= nRdT = 0
이 될 수는 있습니다.
밀폐계, 이상기체의 비가역 등온팽창과정인 경우
W = ∫Pex dV ≠∫P dV
W ≠ ∫ (nRT/V)dV
W ≠ nRT ln(V2/V1)
W ≠ nRT ln(P1/P2)
입니다.
(Pex≠P 이므로)
아래 제 블로그 글 참고하세요
https://syssurr.tistory.com/67
폴리트로픽 과정의 일과 열 heat and work of polytropic process
열역학 Thermodynamics 4. 밀폐계 시스템 Closed system 4.2 폴리트로픽 과정의 일과 열 heat and work of polytropic process 1. 폴리트로픽 과정 polytropic process 기체의 실제 팽창과 압축 과정에서 압력 P..
syssurr.tistory.com
---------------------------
W= nRT ln(P2/P1) 이 아닌 W= Pex △V 를 써야하는 것이 맞나요?
---------------------------
밀폐계, 이상기체의 비가역 과정인 경우
W = ∫Pex dV 이며
Pex가 일정하다면
W = ∫Pex dV=PexΔV
가 됩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