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랗지 않지만 푸르게 보이는 것들 - 1
아이에게 차 조심하라는 말을 하면서
"신호등이 파란색일때도 주변을 잘 살피고 건널목 건너야 되."
라고 말하니
왜 초록불을 파란불이라고 말하냐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.
말문이 막혀 대충 얼버무리고 얼른 검색을 시작했습니다.
검색을 해보니 파랗지 않지만 푸르다고 하는 것들을
3가지 정도 찾을 수 있었습니다.
오늘은 그 중에 첫번째로 신호등의 파란불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.
1.
신호등의 파란불이라는 것에 대해 위키백과에서는
중국, 대한민국, 일본 같은 동양 국가들은 초록색과 파란색을
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'푸르다'라는 표현을 사용해왔다.
......
이처럼 전통적으로 두 가지 색의 개념을
구분해서 사용하지 않았던 문화적 특징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.
현대 들어서 초록색과 파란색이 일부 구분되어 사용되어 왔으나,
신호등에서는 관념에 따라 이를 구분하지 않고
여전히 '푸르다', '파란색'을 '초록색'까지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.
[출처:위키백과]
라고 합니다.
국립국어원의 묻고 답하기에서도 '파란불'이
청신호를 의미하는 표준어라고 하면서 [출처:국립국어원]
어원으로 보면 푸르다와 파랗다의 어원이
계열관계를 형성한다고 합니다. [출처:국립국어원]
(계열관계의 의미는 이해하기 힘들었고 맞는지 모르겠지만
저는 서로 관련이 있고 대체 가능하다는 의미로 이해했습니다.
그래서 우리나라는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청색과 녹색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
'푸르다'라고 표현했다고 합니다. [출처:국립국어원]
저는 색약이 아니지만 아마도
이런 문화적 배경에서 초록불을 파란불이라 말하는 언어 관습에 따라
무의식적으로 초록불을 파란불이라고 말한 것 같습니다.
그런데 이런 식의 표현은
베트남어의 Xanh, 타이어의 เขียว, 전통 웨일스어의 glas에서도 나타나며
한글의 '푸른색'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고 하니 놀랍습니다.
[출처:디스이즈게임]
설득력이 약해 보이지만
1981년도에 모 방송국 라디오의 인기 프로그램이었다는
'푸른신호등'이라는 프로그램이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 라는
내용도 있었습니다. [출처:나주신문]
어쨌든
아이에게는 기다려도 들어오지 않을 '파란' 신호등 대신
'초록색 불'이라고 말해줘야 정확히 뜻을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[참고:중앙일보]
하지만 파란불이라고 하는 것은
문화적 배경이나 언어적 관습에 의한다고 하더라도
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표준어이고
녹색불이나 초록불은 표준어가 아니라고 하니
(호엥 @.@)
나중에 라도 제대로 가르쳐 줘야할 것 같습니다.
[참고:표준국어대사전]
내일은 파랗지 않지만 푸르게 보이는 것들 중
두번째로 찾은 것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.
'미디어 검색 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랗지 않지만 푸르게 보이는 것들 - 3 (22) | 2018.11.29 |
---|---|
파랗지 않지만 푸르게 보이는 것들 - 2 (42) | 2018.11.28 |
개다리춤과 개다리 (40) | 2018.11.25 |
개구리 페페 이야기 (30) | 2018.11.23 |
우리는 가상현실에 살고 있습니까? (48) | 2018.11.21 |